미식&여행
떡국
우리 조상들은 나이를 물을 때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떡국은 몇 그릇이나 먹었나?’라고. 새해 아침, 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먹는다는 옛말에 따라 어린아이들은 빨리 나이를 먹고 싶어 두세 그릇 먹겠다고 나서 지만, 우리 앞에 놓인 떡국은 오로지 한 그릇뿐이다. 이 떡국 한 그릇을 맛있고, 든든히 먹을수록 올 한해를 힘차게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나이가 더해지는 음식, 떡국
상고시대에 신년제사를 지낸 뒤 먹었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떡국은 한자로 ‘첨세병 ’이라고 한다. 먹은 그릇 수에 따라 나이가 더해지는 음식이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왜 많고 많은 음식 중 떡국이었을까?
새해가 밝았으니 밝은 음식인 흰떡을 사용하되, 길쭉한 가래떡으로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또한 이를 떡국에 넣을 때는 동전 모양으로 썰어 넣어 풍요로움에 대한 염원을 더했다. 이러한 염원을 담아 만든 떡국은 추운 겨울인 새해에 먹기 적당하게 따뜻하고, 걸쭉하며 절로 힘이 난다.
지역마다 달라지는 육수와 고명
옛날에는 떡국을 만드는 주재료가 꿩고기였지만, 꿩고기를 구하기 쉽지 않아 평민들을 닭고기로 육수를 냈다. 이것이 지금에 이르러 소고기와 사골로 육수를 낸 떡국으로 변형되었다. 하지만 지역마다 얻을 수 있는 식재료가 다른 만큼 떡국 맛은 다채롭게 변화했다. 특히 황해도 이북 지역에서는 만둣국, 경기도권은 떡만둣국, 충청도 이남 지역은 떡국을 주로 먹기도 한다. 북쪽에서는 쌀을 구하기 쉽지 않아 차라리 밀가루를 이용해 만두를 만드는 것이 수월했기 때문이다.
강원도 떡만둣국
황해도 조랭이떡국
조롱박을 닮은 귀여운 모양의 떡인 조랭이떡을 넣은 떡국이다. 조롱박 모양이 액을 막아주고, 길하다고 해서 조랭이떡을 사용했다. 조랭이떡은 동그랗게 떡을 빚은 다음 가운데를 대나무 칼로 살짝 굴려 만든다. 조랭이떡 특유의 퍼지지 않고 쫄깃쫄깃한 식감이 일품이다.
황해도 조랭이떡국
강원도 떡만둣국
쌀이 귀한 강원도에서는 떡국에 만두를 넣는다. 까치설날에는 가족이 모두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만두를 빚고, 새해가 밝으면 이를 함께 끓여 먹었다. 또한 복주머니처럼 생긴 만두를 먹으면서 한 해 복이 많기를 기원하는 의미도 담았다.
경기도 소고기떡국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떡국으로 소고기와 사골로 육수를 내기에 뽀얀 국물이 먹음직스럽다. 떡국 위에는 볶은 소고기와 계란 지단, 김가루, 파 등 다양한 고명을 사용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오색이 조화로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올 한해가 모두 조화롭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채로운 고명의 조화를 맛보았다.
경기도 소고기떡국
충청도 생떡국
멥쌀가루를 끓는 물로 익반죽해 만든 떡을 넣는다. 떡을 찌지 않고 바로 국에 넣어 먹는다고 해서 ‘생’떡국이라고 부른다. 가장 큰 장점은 쌀가루만 있으면 언제든 바로 떡국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점. 국물에는 미역과 들깨즙, 다슬기 등을 넣어 집집이 색다른 느낌을 내기도 한다.
전라도 꿩떡국, 닭장떡국
떡국의 원조에 가장 가까운 떡국으로, 꿩을 사용하기도 하고, ‘꿩 대신 닭’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간장에 조린 닭고기를 장독에서 꺼내 끓인 닭장떡국은 전라도의 향토 음식으로 꼽히기도 한다. 닭 육수 특유의 깊은 감칠맛이 뛰어나고, 영양분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경상도 꾸미떡국, 굴떡국
고명인 ‘꾸미’가 경상도 떡국의 특징이다. 꾸미는 꿩고기, 닭고기, 소고기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부와 소고기를 함께 볶아 만들기도 한다. 이때 육수는 멸치육수를 기본으로 한다. 한편 경상남도에서는 겨울에 제철인 굴을 이용해 시원하고 담백한 굴떡국을 만들어 먹으며 새해를 맞이하기도 한다.
제주도 몸떡국
모자반을 제주도 사투리로는 ‘몸’이라고 한다. 제주도의 특색있는 음식으로 ‘몸’을 넣어 만든 몸국이 유명한데, 몸국에 떡을 넣으면 몸떡국이 된다. 돼지등뼈를 우린 육수에 모자반, 떡, 메밀가루 등을 넣어서 만들기에 여느 지역보다도 특별한 별미 떡국이 완성된다.